수업들은지 한달이 넘어가지만 환경변수 여는 방법도 정말 잘 몰랐던게 실화인지..

지식의 양 차이가 여기서 부터 나타나는게 느껴졌다.

배워야하는데 열정의 정도가 넘어가다 한계이상이면 무너지는거 실화냐.?

쨎든 넘어져서 포기하까 싶다가도 지금 매우 기분 죠음ㅎㅎ

 

별건 없지만 갠적으론 이거 하나 못 열었다는거 매우 부끄러워서 게시!

일단 설정에 들어가서 좌측 상단에 있는 시스템에 들어간다!

 

 

들어가서 목록 중 제일 아래에 있는 정보에 들어가면 우측 목록에

"고급시스템 설정" 클릭!

 

 

그럼 환경변수 설정이 나온다는거!

 

 

하고나니 매우 쉬운건데 헤메고 있었답니다ㅎ

2021-08-02 오후

Git 실습

  • git download, 설치
    • 어디서 다운로드?
    • 설치 과정
      • default setting (계속 NEXT)
  • 프로젝트(blog) 에서 git 초기화

    • vc code의 터미널에서 cd를 임력해 불필요한 부분 삭제하기
    • git version으로 상태 확인가능하다.
  • 파일 커밋
  • 파일 수정하여 커밋
  • 참고할 것
    • 새로운 파일을 만들기
    • 명령창열기에서 git.(init) 이란 파일 만들면 숨김파일 생성됨.
    • 파일 커밋 반복하기
    • 커밋으로 만약 수정후의 자료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그 전으로 돌아가 다른 방향으로 수정이 가능하다.
    • 커밋을 하면서 메모를 남기는 것으로 인해 나중에 수정방향을 쉽게 알 수 있다.

CLONE

  • '처음'내려받는 것을 의미
  • 그다음에 계속 내려받음(PULL)
  • github 회원가입
  • github remote repository 생성
    • git 내 코드에서 링크(?) 복사하기
    • 명령창에서 git clone 과 함께 github링크 넣기
    • 그럼 clone은 자동 생성
  • 이것으로 굳이 메일이나 모바일 메신저에 파일을 저장해놓고 다운로드 하지 않아도 다른 장소/다른 기계로 원하는
    파일을 얻을 수 있으며 다른사람들과 서로 자료를 공유도 가능하다.
  • 다른사람의 자료를 clone하려면 명령어 창에 git clone을 입력하고 상대의 github 코드를 입력하면 상대의 파일 clone을 다운할 수 있다.
  • push도 커밋하면서 한번에 가능

branch

  • 파일이 가지고 있는 기능
  • sourcetree 다운받아야함(지정파일은 만들기)>>위의 git와 연결됨.
  • 한국말로 "가지"
  • 협없할때 사용됨(충돌 방지)
  • 사용하면 브렌지는 다같이 수정
  • orign- 그리고 origin/master로 대표를 표시한다.
  • 마스터라는 기둥에서 다양한 가지를 가진다.(그러므로써 여러사람이 한 것인지 보기 편하게 배열할 수 있다.)

2021.08.02 오전

WEB C/S System

d

용어들

  • DNS: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에서 www.naver.com 쳐서 엔터 했을 때, 해당 주소의 ip가 어디 인지를 알려주는 '도메인네임서버'

  • ISP: 개인이나 기업체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 웹사이트 구축 및 웹호스팅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

  • Request: 클라이언트가 전송한 요청정보를 제공하는 기본객체

  • Response: 웹 브라우저로 클라이언트 요청에 대한 응답할 응답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개체

  • 동적(dynamic): LINUX의 /usr/lib/ 디렉토리의 .so 파일의 형태. 이 라이브러리의 동작은 실제 동작할 때 메모리로 로딩

  • 정적(static): /usr/lib/ 디렉토리의 .a 같은 파일들이 정적 라이브러리.
    이 라이브러리들은 컴파일 시점에 해당 프로그램에 포함되어 나중에 해당 라이브러리가 없어도 실행이 가능

  • 웹서버: 웹 클라이언트(웹브라우저 등)가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요청한 HTML 페이지나 화일들을 정적 또는 동적으로 제공하는 서버

  •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 HTTP를 통해 컴퓨터나 장치에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해주는 미들웨어(소프트웨어 엔진)

  • develop 서버 : 로컬 서버에서 개발자들이 각자 만든 코드를 합쳐서 테스트해볼 수 있는 서버

  • 운영서버(prod):개발이나 테스트 목적이 아닌, 실제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서버

프로젝트 수행 포지션

  • Sub-lists are mad by indenting 2 spaces:
  • FrontEnd
    • publisher : 웹페이지의 껍데기 당담
    • FrontEnd : publisher + backend와 통신
  • Backend
    • tomcat, Websquare, etc.. 로 구현해놈

과정 진행 목표('21-8 ~ 21-10')

  • 8월 : 실무 프로젝트 환경과 최대한 동일한 인프라 셋팅 하여 회의식 예약 시슽ㅁ이나 주제로 개발 해본다.
  • java, sql, JS, CSS html

8월 과정 매일 일정

  • java
  • sql(오전)
    • 강사 제공 강의 + 문제들로 연습
  • SPRING BOOT(REST API 문제들로 구현)
  • '회의실 예약 시스템'의 기획 설계 문서 작성(오후)
  • 인프라 셋팅과 통신 테스트(오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