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세한 문제는 사이트에서 보기
1000, 1001, 10998, 1008, 10869, 10430
어김없이 틀려요.
솔직히 왼쪽의 것도 답은 나오지만 문제에서 원하는 해답은 이게 아니였다는거 겠지?
단순값을 입력해서 결과값을 얻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값을 입력 받아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라는 것.
그래서 Scanner을 이용해서 원하는 값을 입력받을 수 있게 해야한다는 것이다.
무난하게 오른쪽의 코딩을 이용해 연산자만 바꾸면 더하기, 뺴기, 곱하기도 가능하다.
그런데 sc.close랑 nextInt 이 두가지를 이용했지만 정확한 개념을 잘 모르고 사용했다.
다른건 성공했다.
여기서 주의해야할 건 나눗셈인데. 문제에서는 소숫점을 표현하는 것을 원했다.
이걸로 "변수타입"이 중요한데
정수형 데이터 | 실수형 데이터 |
byte (1byte) -128 ~ 127 |
float (4byte) ±(1.40129846432481707e-45 ~ 3.40282346638528860e+38) |
short (2byte) -37,768 ~ 32,767 |
double (8byte) ±(4.94065645841246544e-324d ~ 1.79769313486231570e+308d) |
int (4byte) -2,147,483,648~2,147,483,647 |
문자 데이터 타임 |
long (8byte) -9,223,372,036,854,775,808 ~ 9,223,372,036,854,775,807 |
char (2byte) 모든 유니코드 문자 |
( 8bit = 1byte, 1024byte = 1kbyte ) ->1024byte가 1kbyte인 이유는 인간의 언어가 아닌 컴퓨터인 언어 임으로
이 표를 봐서도 보통 자주 사용하는 int를 사용하려고 하니 이것은 정수형 데이터 타입의 하나로써, 정수(..., -1, 0, 1 ..)를 표현하고 소수점을 취급하지 않는다. 그럼으로 실수형 데이터 타입을 이용한다.
아까 애매하게 알고 사용하고 있었던 것들을 정리해보자
1. close 매소드
이것을 보았을때 굳이 왜??라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하게 없어도 된다(다른경우는 모르겠지만). 이제껏 사용하던 연산 코딩들에게서 없어도 잘 돌아갔다고 한다.
하지만
이 메소드를 이용함으로써 우리 그 위에서 int a,b에서 지정해주는 외부 정보들을 "모두" 사용했으니 그만 이용하겠다는 의미로 해석하면 될 것 같다.
2. next / nextLine
아직 이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도 나중을 위해 기록하자면..
이것들은
Scanner 클래스의 메소드이고, 문자열로 반환시켜준다고 한다.
next는 한 단어씩 입력할 때, nextLine는 한 줄을 전부 입력받고 싶을때 이용한다고 한다.
1000번: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1001번: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1008번: A/B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10869번: 사칙연산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 이때, A+B, A-B, A*B, A/B(몫), A%B(나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10430번: 나머지
첫째 줄에 A, B, C가 순서대로 주어진다. (2 ≤ A, B, C ≤ 10000)
www.acmicpc.net
'언어공부 > [BAEKJOON]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EKJOON] 1330, 9498 , 2751, 14681, 2884 : if 문 (0) | 2021.12.18 |
---|---|
[BAEJOON] 2588 : 곱셈 (0) | 2021.12.12 |
[BEAKJOON] 10171번 : 고양이 그리기 + '이스케이프'이용하기 (0) | 2021.12.10 |
[BAEKJOON] 2557번/10718번 + println / print 차이 (0) | 2021.12.09 |
1. java 기초 연습 (0) | 2021.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