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시간에 설명들은거 다시 써보기


* 연계 데이터 구성 : 연계 데이터를 식별(식별자)하고 식별된 연계 데이터를 표준화 하는 과정

*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 절차
     연계 변위 및 항목 정의 -> 연계 코드 매핑 및 정의 -> 변경된 데이터 구분 방식 정의  -> 데이터 연계

* 테이블 정의서(설계문서)
     - (ERD) : 데이터 모델링 정의서
     - 테이블/프로세스 연관도
     - 테이블 별 컬럼 속성 정의서

* 데이터 식별자 : PK(중복불가, 고유한 row데이터, not null)

*데이터 표준화의 여러가지 정의들
    - 데이터 명칭 : 테이블 명 컬럼명은 보편적으로 인지되는 이름이어야 한다.
    - 데이터 정의 : 데이터 명칭에는 약어나 전문 용어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다.
    - 데이터 형식 : 정의된 데이터 형식을 잘 따른다.
    -데이터 규칙 : 발생 가능한 데이터 값을 사전(dictionary before)에 정의한다.

* 연계 메커니즘 :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 체계& 데이터를 받아 DB에 반영하는 수신 체계

*POST 전송방식 특징
    - 목적 시스템에 데이터 전송을 목적으로 한 요청 httpMethod
    - FORM의 속성으로 설정 가능
    - 데이터가 http 전문의 body 요소에 들어간다.

* 송신 시스템이 데이터 통신을 목적으로 하는 수신 시스템과 직접 연계되어 있나?
     (Y) 직접 연계 방식
     (N) 간접 연계 방식

* 연계 오류 시 처리 결과
   모니터링을 이용한 확인 -> 구간별 로그 확인 -> 장애조치 -> 필요시 재작업

* 테스트 케이스 : 송신 시스템과 수신 시스템에서 확인해야 할 사항을 각각 도출하며, 송수신 시스템 각각에서 단순개별 데이터의 유효값을 체크하는 경우의 구와 데이터 간의 연관 관계를 체크하는 경우의 수로 식별하여 작성해야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