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C/23년. 게시판 만들기 수업

[21.08.13] URL, 상대/절대 경로 끄적이면서 이해하기

zzerou 2021. 8. 13. 19:21

사실 url은 저번 수업시간에 다룬거지만 오늘 제대로 보기

그리고 사실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았는데 이번 기회로 공부하는걸로

미룬자에게는 댓가가 따르니라..ㅎ

 

< url >

보통 인터넷 주소라고 알고 있겠지만. 이것은 100센트의 정답이 아니라

파일에 대한 웹상의 고유 주소를 의미한다. 

이미지, 동영상, 소리 모든 것들의 주소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하나의 주소를 가지는만큼 고유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html을 제작할때 이미지의 파일을 넣는 경우도 있었지만

url을 넣는 경우도 있어서 신기하게 봤던 기억이 있다.

출처 : https://www.grabbing.me/URL-018cdd1bb4b541fab6246569244fcf93

프로토콜 많이 들어봤지만 사실 잘 몰라..

그럼 다음에 이것도 따로 더 찾아봐야할거 같고

일단 url 구조는 이렇다고 한다.

 

사진에는 5등분으로 나눠지지만 더 세분화 된다는거에 휴..

 

1,프로토콜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

여기서 http와 https를 발견할 수 있는데 s로 인해 규격은 같지만 https로 인해 보안이 좀 더 강화 된다는 것

그치만 https는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지만 그만큼 속도가 조금 느리다고 한다.

 

2,호스트 주소

사용자 정보로 컴퓨터의 주소를 나타낸다고 하지!

여기서 궁금증은 그럼 같은 사이트를 들어간다고 해도 이 주소는 변할까? 

더 나아가서 이건 ip와 같고 호스트 주소라고 말하지만 실은

호스트 주소는 ip주소보다 작은 범위에 해당한다고 한다.

그래서 ip주소는 네트워크주소와 호스트주소의 합이라고 하죠ㅎㅎ

 

3,포트번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있는 프로세스의 주소라고 한다.

그래서 포트번호를 입력하지 않을땐 프로토콜이 가지고 있는 기본 포트번호 적용된다고 한다.

표준 포트를 사용하면 생략 가능하고 http는 80번 https는 443이 적용된다.

 

4,경로라 하지만 "매개변수"라고 합니다

서버 내에 맞추어진 경로로 가는 영역

여기서 ASCII에 해당하는 문자는 해당되지만 사용안되는 경우

%로 시작하는 16진수(16을 기수로 하는 번호체계) 문자코드를 사용한다고 한다.

공백은 +나 %20으로 변경해 사용(그냥 공백이 없이 꽉꽉이군)

 

5,쿼리

쉽게 말하면 매개변수와 부분 식별자의 만남으로 

url에서 추가적인 데이터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고 한다.

솔직히 여기서 이해가 되지 않는데

 

일단! 파일 이름과 퀴리 사이에는 ?로 구분지으며

세그먼트의 모임들로 구성되어 &구분된다고 한다.

?type=post&returnURL=%2Fmanage%2Fposts%2F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는 지금 1개의 &가 있어 두개의 세그먼트를 가진다고 할 수 있겠지. 

 

-----------------------------------------------------------------------------------------------

 

< 상대경로 / 절대경로 >

다른 언어들을 아직 공부하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현재 공부하고 있는 자바같은 경우(이 정도는 비슷하겠지 머)

 

위의 내용이 연결되겠지만 프로그램에서 경로를 표현하는 방식에도 두가지가 있는데

바로 "상대경로"랑 "절대경로"가 있다고 한다. 

수업을 들어보니 말만 거창하지 의미는 나름 단순했다.

 

상대경로(relative) : 현재의 위치로 부터 다른 경로를 비교해 표시한다

상대경로는 아래 그림의 기준인(css)파일로 그 전 파일이 project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거의 \로 구분되어있어 경로를 알 수 있다.

표현할때는 ..\..\이런식으로 표현된다는거

(역슬레쉬 왜 안되냐;;)

 

절대경로(absolute) : 위에서 봤던 url의 전체의 모습이나 최상위 디렉토리가 반드시 포함 된 경로

밑에 보이는 전체 주소가 절대경로가 될거고 

사실 코딩으로 경로를 사용할때 절대경로는 경로 전체를 기입하면 되겠지만

상대경로를 제대로 사용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